9월에도 글로벌 신조선 시장은 냉각세를 이어갔다. 중국 조선소는 선두 자리를 유지하며 1위를 지켰지만, 한국과의 격차는 점차 좁혀지고 있다. 10월 5일 클락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신규 선박 수주량은 123척으로, 350만 CGT(Compensated Gross Tonnage, 환산톤수)에 달했다. CGT 기준으로 보면, 이는 작년 동기 629만 CGT 대비 44% 감소, 올해 8월 360만 CGT 대비 3% 감소한 수치이다.
그 중 중국 조선소는 69척을 수주하여 142만 CGT를 기록, 글로벌 시장 점유율 40%로 1위를 차지했다. 한국 조선소는 33척을 수주하여 135만 CGT를 기록, 글로벌 시장 점유율 39%로 2위를 기록했다.
| 한국 업계 관계자는 9월 수주량 기준으로 한국 조선소가 중국 조선소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고 밝혔다. 수량에서는 중국에 크게 뒤쳐졌지만, 선박 1척당 CGT를 고려하면 한국은 41,000 CGT로, 중국의 21,000 CGT의 거의 두 배에 달했다. 이는 한국 조선소가 고부가가치 선박 중심의 선별 수주 전략을 지속해왔음을 보여준다. 그 결과, 수주한 신규 선박의 개별 가치가 높아, 9월 수주 순위에서 한국이 중국과 거의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었다. |
2024년 1월~9월 글로벌 신규 선박 수주 현황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누적 글로벌 신규 선박 수주량은 1,185척으로, 총 3,264만 CGT에 달했다. CGT 기준으로 보면, 이는 작년 동기 2,560척(6,143만 CGT) 대비 47% 감소한 수치이다.
중국 조선소: 725척을 수주하여 총 1,833만 CGT를 기록, 전년 대비 58% 감소, 글로벌 시장 점유율 56%로 세계 1위.
한국 조선소: 169척을 수주하여 총 734만 CGT를 기록, 전년 대비 17% 감소, 시장 점유율 22%로 2위.
1~8월 중·한 수주 비교 및 한국 시장 점유율 추이
올해 1~8월 중국과 한국 조선업계의 수주 실적을 살펴보면, 중국이 6번(2월, 4월, 5월, 6월, 7월, 8월) 수주 순위 1위를 차지했고, 한국은 단 2번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올해 하반기부터 한국 조선업계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매달 증가하고 있다.
7월: 중국 조선소는 글로벌 신규 선박 수주의 75%를 차지했고, 한국 조선소는 16%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로 2위를 기록했다.
8월: 중국 조선소는 75%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했고, 한국의 점유율은 7%p 상승한 23%로 여전히 2위를 기록했다.
한국 업계의 수주 전략 및 시장 전망에 대한 견해
한국 업계 관계자는 1월부터 9월까지 한국 조선업계의 총 수주량이 전년 대비 17% 감소했지만, 향후에도 고부가가치 선종 중심의 '선별 수주' 원칙을 고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고품질 수주 확보가 조선소의 수익 개선과 이윤 증대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 한국 업계 관계자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지난 2년간 한국 조선소가 선별 수주 전략을 고수하면서 중국 조선업계와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격차가 계속 벌어졌다. 그러나 올해 한국 조선소는 오히려 선주들에게 더 매력적인 인도 일정을 제시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 조선업계의 시장 점유율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다. 한국 조선소가 저가 출혈 경쟁 시기에 수주한 물량은 대부분 인도되었고, 잔여 물량 중 저가 수주 비중은 미미해졌다." |
9월 말 기준 글로벌 수주 잔량
올해 9월 말 기준 글로벌 수주 잔량은 1억 6,599만 CGT로, 8월 말 대비 7만 CGT 증가했다.
중국: 신규 선박 수주 잔량은 1억 860만 CGT로, 전년 대비 98만 CGT 증가, 전월 대비 31만 CGT 증가하며 61%의 시장 점유율로 1위를 유지했다.
한국: 수주 잔량은 3,381만 CGT로, 전년 대비 42만 CGT 감소, 전월 대비 44만 CGT 감소하며 시장 점유율 20%로 2위를 기록했다.
9월에도 글로벌 신조선 시장은 냉각세를 이어갔다. 중국 조선소는 선두 자리를 유지하며 1위를 지켰지만, 한국과의 격차는 점차 좁혀지고 있다. 10월 5일 클락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신규 선박 수주량은 123척으로, 350만 CGT(Compensated Gross Tonnage, 환산톤수)에 달했다. CGT 기준으로 보면, 이는 작년 동기 629만 CGT 대비 44% 감소, 올해 8월 360만 CGT 대비 3% 감소한 수치이다.
그 중 중국 조선소는 69척을 수주하여 142만 CGT를 기록, 글로벌 시장 점유율 40%로 1위를 차지했다. 한국 조선소는 33척을 수주하여 135만 CGT를 기록, 글로벌 시장 점유율 39%로 2위를 기록했다.
| 한국 업계 관계자는 9월 수주량 기준으로 한국 조선소가 중국 조선소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고 밝혔다. 수량에서는 중국에 크게 뒤쳐졌지만, 선박 1척당 CGT를 고려하면 한국은 41,000 CGT로, 중국의 21,000 CGT의 거의 두 배에 달했다. 이는 한국 조선소가 고부가가치 선박 중심의 선별 수주 전략을 지속해왔음을 보여준다. 그 결과, 수주한 신규 선박의 개별 가치가 높아, 9월 수주 순위에서 한국이 중국과 거의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었다. |
2024년 1월~9월 글로벌 신규 선박 수주 현황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누적 글로벌 신규 선박 수주량은 1,185척으로, 총 3,264만 CGT에 달했다. CGT 기준으로 보면, 이는 작년 동기 2,560척(6,143만 CGT) 대비 47% 감소한 수치이다.
중국 조선소: 725척을 수주하여 총 1,833만 CGT를 기록, 전년 대비 58% 감소, 글로벌 시장 점유율 56%로 세계 1위.
한국 조선소: 169척을 수주하여 총 734만 CGT를 기록, 전년 대비 17% 감소, 시장 점유율 22%로 2위.
1~8월 중·한 수주 비교 및 한국 시장 점유율 추이
올해 1~8월 중국과 한국 조선업계의 수주 실적을 살펴보면, 중국이 6번(2월, 4월, 5월, 6월, 7월, 8월) 수주 순위 1위를 차지했고, 한국은 단 2번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올해 하반기부터 한국 조선업계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매달 증가하고 있다.
7월: 중국 조선소는 글로벌 신규 선박 수주의 75%를 차지했고, 한국 조선소는 16%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로 2위를 기록했다.
8월: 중국 조선소는 75%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했고, 한국의 점유율은 7%p 상승한 23%로 여전히 2위를 기록했다.
한국 업계의 수주 전략 및 시장 전망에 대한 견해
한국 업계 관계자는 1월부터 9월까지 한국 조선업계의 총 수주량이 전년 대비 17% 감소했지만, 향후에도 고부가가치 선종 중심의 '선별 수주' 원칙을 고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고품질 수주 확보가 조선소의 수익 개선과 이윤 증대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 한국 업계 관계자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지난 2년간 한국 조선소가 선별 수주 전략을 고수하면서 중국 조선업계와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격차가 계속 벌어졌다. 그러나 올해 한국 조선소는 오히려 선주들에게 더 매력적인 인도 일정을 제시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 조선업계의 시장 점유율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다. 한국 조선소가 저가 출혈 경쟁 시기에 수주한 물량은 대부분 인도되었고, 잔여 물량 중 저가 수주 비중은 미미해졌다." |
9월 말 기준 글로벌 수주 잔량
올해 9월 말 기준 글로벌 수주 잔량은 1억 6,599만 CGT로, 8월 말 대비 7만 CGT 증가했다.
중국: 신규 선박 수주 잔량은 1억 860만 CGT로, 전년 대비 98만 CGT 증가, 전월 대비 31만 CGT 증가하며 61%의 시장 점유율로 1위를 유지했다.
한국: 수주 잔량은 3,381만 CGT로, 전년 대비 42만 CGT 감소, 전월 대비 44만 CGT 감소하며 시장 점유율 20%로 2위를 기록했다.